| 2025.07.17.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다양한 참여 양상을 알리기 위해 2탄 OX 퀴즈 카드뉴스를 제작·업로드하였습니다. 
 아래는 카드뉴스로 업로드한 내용입니다. 
 4. 국채보상운동의 대표 인물은 안중근이다. ❌해설:안중근은 1909년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독립운동가로, 국채보상운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요.
 국채보상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은 대구의 서상돈과 김광제입니다.
 이들은 1907년 대구에서 국채를 국민이 갚자는 취지로 ‘국채보상기성회’를 결성하고, 운동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특히 서상돈은 대한매일신보에 운동을 제안하는 글을 기고하며 전국적 확산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5. 국채보상운동은 민간 자발적으로 시작되었다. ⭕해설:이 운동은 정부의 지시나 명령 없이, 시민들이 스스로 나라를 돕고자 시작한 운동입니다.
 1907년 대한제국이 일본으로부터 빌린 **1,300만원의 국채(나라 빚)**를 국민들이 갚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고,
 이후 언론, 종교계, 학생, 여성, 해외 교민 등 각계각층이 자발적으로 동참했습니다.
 이는 한국 근대사에서 매우 이례적인 자발적 시민운동이며, 시민 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에요.
 
 6. 국채보상운동 당시 여성들도 참여했다. ⭕해설:여성들은 이 운동에서 적극적인 실천 주체로 등장했습니다.
 당시 여성들은 자신이 쓰던 금가락지, 비녀, 목걸이 등 귀금속을 기부했고,
 머리를 풀거나 화장을 하지 않는 등 검소한 생활로 빚 갚기에 동참했어요.
 특히 ‘비녀를 빼고 쪽을 풀어 헌납한 운동’은 여성 참여의 상징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여성도 국가적 문제에 의식을 가지고 행동한 중요한 역사적 사례예요.
 
 
 |